Jisoo Lee
Doorstep
August 28—September 27, 2025

Summary

Related artist:
Jisoo Lee
Jisoo Lee
Doorstep
August 28—September 27, 2025

Summary
Related artist:
Jisoo Lee
sangheeut is pleased to present Doorstep, the debut solo exhibition by Jisoo Lee (b. 2000), on view from August 28 to September 27, 2025. Rooted in her personal experience, Lee’s practice examines the boundaries of private spaces that have been breached or destabilized by external forces. Through painting and installation, she articulates the uneasy tension between visibility and vulnerability within spaces presumed to offer safety and autonomy. In a reality where asserting one's presence—even in the most intimate of places—can paradoxically provoke threat, Lee adopts a mode of strategic camouflage: effacing her own presence and substituting it with traces of the other.

The exhibition title, Doorstep, evokes this interplay between concealment and defense. Referencing online memes and social practices in which women living alone place men’s shoes at the doorstep or use male names for deliveries as makeshift deterrents, Lee translates these precarious gestures into a visual methodology.

In this exhibition, she presents new paintings and sculptures that juxtapose and conflate incongruous objects linked by a shared surface—through color, texture, or form. A basketball masquerading as an egg, an egg feigning the hardness of a ball, or a cracked plate resembling a spiderweb: these deceptive configurations at first glance appear familiar, yet beneath their surface lie incongruent truths.
상히읗은 2025년 8월 28일부터 9월 27일까지 이지수(b. 2000)의 첫 개인전 《Doorstep》을 개최한다.
이지수는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타인에 의해 침범당한 사적 공간의 경계를 회화와 설치 작업으로 풀어낸다. 가장 ‘나’일 수 있는 장소에서조차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는 일이 역설적이게도 위협으로 작용되는 현실 속에서 작가는 자신의 외피를 지우고 그 자리에 타인의 정보값을 덧씌우는 식의 위장 전략을 택한다.

전시 제목 ‘Doorstep’은 이러한 위장과 방어의 감각을 함축한다. 여성들이 혼자 산다는 사실을 감추기 위해 현관에 남성용 신발을 두거나 택배 송장에 남성 이름을 적는 등의 행위가 온라인상에서 ‘밈(mem)’처럼 퍼지고 있는 오늘날, 작가는 이 어설픈 방어막의 형태를 작업의 방법론으로 치환한다. 《Doorstep》에서 작가는 색과 형태, 즉 외피의 교집합을 공유하는 이질적인 대상들을 병치하거나 혼합한 회화 및 조각 신작을 선보인다. 계란인 척하는 농구공, 농구공인 척하는 계란, 혹은 거미줄을 닮은 접시의 균열같은 일련의 형상들은 언뜻 유사해 보이지만 얇은 막을 걷어내면 전혀 다른 본질이 드러난다. 이러한 장면들은 현실 속에서 작가가 구축해 온 ‘어설픈 위장막’의 속성을 은유적으로 드러낸다.

sangheeut 
30, Sinheung-ro, Yongsan-gu, Seoul 04339
(04339) 서울 용산구 신흥로 30

info@sangheeut.net
Instagram  ∙  Youtube  ∙  Newsletter  ∙  Artsy
Opening hours:
Tuesday⏤Saturday
11am⏤6pm
Closed on national holidays

© 2025 sanghee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