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hibitions    Artists    Media   Publications   News    About



TZUSOO
Alma Redemptoris Mater: Our Material Our Redeemer
추수
존귀하신 물질이여
December 8, 2023—January 23, 2024

Media
Installation views
Press release
Selected press

Related artist:
TZUSOO


TZUSOO
Alma Redemptoris Mater: Our Material Our Redeemer
추수
존귀하신 물질이여
8 December 2023—28 January 2024


sangheeut is delighted to announce the opening of Alma Redemptoris Mater: Our Material Our Redeemer, TZUSOO’s solo exhibition, on display from 8 December, 2023, to 28 January, 2024. Exploring the intricat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material, TZUSOO presents an expansive body of work across various media. Her works often delves into radical concepts such as disembodiment, gender fluidity, and posthumanism, while also portraying an idealized and harmonious worldview through collaboration with AI. This exhibition unveils the Agarmon series, a collection of new paintings and installations that accentuate materiality—an underlying concept in the artist's body of work.

TZUSOO has used childbirth and pregnancy as the main subject of her work since Schrödinger’s Baby (2019), a video work depicting a baby existing in a virtual world. In her Agarmon series, where the artist’s desires take center stage, she attempts to dissolve the distinctions between digital and real life by materializing beings born in the digital domain into our physical reality.

Humans experience orgasm through sexual intercourse. The entropy associated with this climatic moment has traditionally been linked to fertilization and the birth of life. However, the artist shifts the focus to contemporary entropy, which is disconnected from fertilization and pregnancy. TZUSOO emphasizes the possibility of redirecting vanishing entropy and rather using it as a conduit for creative expression. Shown for the first time in this exhibition, the series of Agarmon represents 'monsters' that are born at the moment of human orgasm.

The exhibition title, Alma Redemptoris Mater: Our Material Our Redeemer, derives from Alma Redemptoris Mater, one of the four Marian Hail Marys.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women in pregnancy and childbirth hold a distinct position, echoing the significance of Mary’s role. The historical context reveals debates surrounding the portrayal of women, from Eve being considered a mere helper or tool to Adam to Mary’s unique position as the one who received God’s message and conceived Jesus. There’s even speculation about the Apostle Paul introducing the Holy Spirit to the Trinity to obscure Mary’s role. Christian doctrine consistently grapples with the contrasting notions of virginity and motherhood, aiming to avoid associating Mary with explicit images of sex and childbirth.

In contrast, TZUSOO’s work deliberately intertwines these themes. Through the creation of Agarmon, a monster born at the moment of orgasm, the artist underscores the inherent, though often unspoken, connection between women's sexual desire and the sacred act of childbirth. While the artist is known for actively employing digitally-based media such as virtual worlds and characters, she further emphasizes the materiality of reality in this series, a theme echoed in the exhibition’s title. Drawing inspiration from the linguistic link between the English word for mother, 'mater,' and the Latin word 'materia,' meaning substance, the artist chooses to interpret it as 'substance' instead of the revered 'mother.' This linguistic choice once again establishes a connection between materiality and motherhood in TZUSOO’s work.

TZUSOO’s recent works can also be interpreted with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technology and its perception of women’s birth and reproduction. Throughout history, technologies that contain something or possess an inherent emptiness as a function in themselves—containers such as jars and bowls, and women’s wombs—have often been overlooked in favor of technologies that exhibit force, impact, and dynamic effects, like spears and guns. The latter category has traditionally been associated with masculinity, contributing to the marginalization of women in the technological narrative. However, philosopher Heidegger challenges this perspective by asserting that holding is an active process. He argued that holding involves both taking and keeping, rejecting the notion of a passive, singular act. In the 1930s, historian of technology Lewis Mumford furthered this argument by suggesting that tools and technologies commonly used by women in domestic settings have been unjustly neglected in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technology. Zoë Sofia, an Australian-based researcher in the philosophy of technology and science, extends Mumford's argument by positing the female womb itself as a form of technology.1 Sophia emphasizes that procreation and reproduction constitute crucial aspects of essential human technology, countering the historically masculinist perspective that has often regarded women's wombs as passive tools or conduits for men's reproductive contributions.

TZUSOO, known for incorporating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AI into her body of work, aligns with this progressive perspective. The new works featured in this exhibition can thus be seen not only as her embrace of new technologies but also as a continuation of her ongoing exploration of established technological narratives. The artist’s longing for birthing transcends a conventional desire; it embodies a yearning for a more foundational form of technology. This theme resonates consistently throughout TZUSOO’s oeuvre, often characterized by the artist herself as a process of ‘birthing.’ A container that is full is useless. TZUSOO delves into the essence of container technology, recognizing its core function: the continual release of what is already held, facilitating the containment of something new. In embodying this essence, TZUSOO consistently engages in the act of producing and giving birth to a succession of artistic works.

1 Sofia, Zoë. “Container Technologies.” Hypatia 15, no. 2 (2000): 181–201.

About the artist
TZUSOO earned her bachelor's degree from the Art College of Hong-ik University in Seoul and completed her diploma at the State Academy of Fine Arts in Stuttgart, Germany. Unrestricted by a specific medium, she dynamically selects the most fitting mode of expression over time. TZUSOO explores diverse genres, encompassing video works, installations, sculptures, and paintings, as she delves into the fundamental aspects of our existence with a keen and humorous perspective. TZUSOO has participated in numerous group exhibitions at intern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Kunstmuseum Stuttgart (2021); Culture Station Seoul 284, Seoul (2021);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2022); HITE Collection, Seoul (2022); and Hessel Museum of Art, New York (2023). The artist has held her solo exhibitions at various spaces, including City Gallery of Sindelfingen (2020); Electro Putere Gallery, Craiova (2021); Soma Art Space 700, Berlin (2022); and (Together)(Together), Seoul (2022). TZUSOO currently lives and works in Berlin.
상히읗은 오는 12월 8일부터 1월 28일까지 작가 추수의 개인전 《존귀하신 물질이여(Alma Redemptoris Mater:  Our Material Our Redeemer)》를 개최한다. 추수는 신체와 물질의 견고한 관계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매체 활용을 통한 전방위적 작업을 선보여왔다. 특히 탈신체성이나 젠더플루이드, 포스트 휴머니즘과 같은 급진적 개념을 다루거나 AI와의 협업을 통해 유연한 사고를 끌어내는 등 일종의 이상적이고 조화로운 세계관을 보여준 바 있다. 이번 전시는 작가의 작품 세계에 근간을 이루는 개념인 ‘물질성'을 강조하는 신작 회화와 설치 작품 <아가몬(Agarmon)> 연작을 소개하는 자리이다.

추수는 가상세계에 존재하는 아기를 담은 영상 작품 <슈뢰딩거의 베이비>(2019)를 시작으로 본인의 오랜 염원인 출산과 임신을 작업의 주요 소재로 삼아왔다. 작가의 염원을 전면에 내세운 <아가몬> 연작을 통해 디지털 세상에서 태어난 존재를 현실 세계로 옮겨옴으로써 디지털과 현실의 경계 허물기를 시도한다.

인간은 성관계를 통해 오르가즘을 느낀다. 오르가즘, 그 절정의 순간에 발생하는 엔트로피가 수정과 생명의 탄생으로 귀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라면, 작가는 수정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임신으로 치환되지 못하는 오늘날의 엔트로피에 주목한다. 추수는 소실되는 엔트로피의 재치환(redirect) 혹은 우회의 가능성에 주목하며 이를 창작 활동의 통로로 삼는다. 이번 전시를 통해 처음으로 선보이는 <아가몬> 연작은 인간의 오르가즘의 순간에 탄생하는 ‘몬스터’를 표방한다.

본 전시의 제목 ⟪존귀하신 물질이여⟫는 4대 성모 교송 중 하나인 ‘구세주의 존귀하신 어머니여(Alma Redemptoris Mater)’에 기인한다. 기독교의 역사에서 임신과 출산을 행하는 여성은 마리아의 존재와 마찬가지로 독특한 위치에 있다. 이브는 아담에게 제공된 도움이자 도구였으며, 사도 바울로는 하나님의 메시지를 듣고 예수를 잉태한 마리아/여성을 인정하고 싶지 않았기에 그 자리에 ‘성령'이라는 애매모호한 실체를 끼워 넣어 삼위일체를 완성시켰다는 해석도 분분하다. 또한, 기독교의 교리는 마리아에게 섹스와 출산이라는 이미지가 연상되지 않도록 동정녀와 어머니라는 상반된 개념을 끊임없이 상기하며 고취해 왔다.

추수의 작업은 이와 반대로 섹스와 출산을 연결한다. 작가는 오르가즘 순간에 태어난 몬스터인 <아가몬>을 통해 그토록 불경 시 여겨진 여성의 성적 욕구와 성스러운 출산의 (떼레야 뗄 수 없는) 묵인적인 관계성을 강조한다. 그동안 가상 세계 및 버츄얼 캐릭터 등 디지털 기반의 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온 작가는 이번 작품을 통해 현실의 물질성을 더욱 강조하는데, 이는 이번 전시 제목에서도 여실히 확인된다. 어머니를 뜻하는 영어 단어 ‘마테르(mater)’가 물질을 뜻하는 라틴어인 ‘마테리아(materia)'의 어원이라는 사실에서 착안하여 존귀하신 '어머니’ 대신 ‘물질’로 번역, 물질성과 모성애를 다시 한번 연결한다.

한편, 추수의 신작은 기술(technology)의 역사와 그 안에서 여성의 출산과 재생산을 바라보는 관점과도 연결 지어 읽힐 수 있다. 무언가를 담거나, 때로는 비어있음이 그 자체로 기능이 되는 기술들—컨테이너와 같은 항아리, 그릇, 나아가 여성의 자궁—은 찌르거나 부수고, 역동적인 효과를 만들어내는 기술—대표적으로 창과 총—에 가려져 기술의 역사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특히, 전자의 기술은 여성성으로, 후자의 기술은 남성성으로 위시되며 기술에서의 여성의 위치를 보다 더 격하시켰다. 그러나 철학자 하이데거는 일찍이 담는 것(hold)은 그 자체로 능동적(active)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그는 ‘무언가를 담아냄’이란 취하고(take) 또 지키는(keep) 행위를 동시에 실행하는 상태라고 설명하며 그것이 한낱 수동적인 행위가 아니라 되려 복합적인 행위라고 보았고, 기술 역사학자 루이스 멈포드는 1930년대에 여성, 그리고 가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도구나 기술이 기술 역사와 철학에서 쉽게 간과되어 왔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호주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기술과 과학 철학 연구자 조 소피아는 이러한 멈포드의 주장에서 한발 나아가 여성의 자궁을 테크놀로지로 여김으로써 출산과 재생산이 인간의 필수적인 기술성의 핵심 영역이라고 강조한다.1 이는 그동안 여성의 자궁을 남성의 씨앗을 운반하는 수동적인 도구나 통로로 여겨왔던 지난한 남성주의적 역사와 기술관에 젠더적 균형을 맞추는 관점이다. 

추수는 AI와 같은 첨단 기술의 활용을 구심점으로 다양한 작품을 선보이며 그만의 작품 세계를 구축해 온 바 있다. 그리고 위의 관점에서 추수의 신작을 바라봤을 때, 본 전시에서 선보이는 신작 또한 새로운 기술의 차용으로 해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작품들과도 큰 궤를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추수가 품은 출산에 대한 염원은 보다 근본적인 기술로의 염원이다. 그리고 이는 작품을 ‘낳는다’는 표현을 즐겨하는 작가의 작품 전반에서 잘 드러난다. 가득 차 있는 컨테이너는 무용하다. 컨테이너 기술의 핵심은 또 다른 무언가를 담기 위해 이미 담겨져 있는 것을 밖으로 내보내는 것이며, 추수는 끊임없이 작품을 생산하고 낳으면서 이 핵심에 도달한다. 

1 Sofia, Zoë. “Container Technologies.” Hypatia 15, no. 2 (2000): 181–201. 


작가 소개
추수(b. 1992)는 서울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독일 슈투트가르트 국립조형예술대학교에서 석사 과정을 마쳤다. 특정한 매체에 국한되기보다,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가장 잘 구현하는 것에 주안을 두는 작가는 영상이나 설치, 조각, 회화 등 다양한 장르를 오가며 그만의 작품 세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추수는 특유의 예리하고 영민한 시선과 재치로 존재의 본질을 탐구한다. 작가는 슈투트가르트 쿤스트 뮤지엄(2021); 문화역 서울 284(2021); 경기도미술관(2022); 서울 하이트 컬렉션(2022); 뉴욕 헤셀 미술관(2023) 등 국내외 유수의 기관에서 개최된 단체전에 참여했으며, 진델핑엔 시립미술관(2020); 크라이오바 일렉트로 푸터레 갤러리(2021); 베를린 소마 아트스페이스 700(2022); 서울 (투게더)(투게더)(2022) 등 다양한 공간에서 개인전을 개최한 바 있다. 현재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 중이다.

sangheeut 
30, Sinheung-ro, Yongsan-gu, Seoul 04339
(04339) 서울 용산구 신흥로 30

info@sangheeut.net
Instagram  ∙  Youtube  ∙  Newsletter  ∙  Artsy
Opening hours:
Tuesday⏤Saturday
11am⏤6pm
Closed on national holidays

© 2024 sanghee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