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metimes, stories are not clearly told. Some are left unspoken for too long—growing heavy, stagnant, and lodged in the throat. Others are never fully articulated, remaining in the realm of sensation, expressed only through gestures or traces. Lingering Rumors gathers such stories—those that never quite begin, that resist conclusion, and that remain suspended in ambiguity. Born from memory, but blurred and redirected through layers of misinterpretation and embellishment, these stories reemerge as images in the works of Gayoung Lee and Jiwon Seo.
Gayoung Lee (b. 2001) begins her paintings by retrieving lingering sensations from the unconscious. She follows fleeting images that surface in the liminal space before sleep—forms that slip beyond the reach of language—and lets them drift within layers of texture and motion. She gives these forms presence: adding faces, attaching limbs, shaping them into figures that feel like characters from half-remembered tales. Yet these beings resist resolution. They shift under the viewer’s gaze, inviting reinterpretation, slipping into new and unexpected narratives. Rather than constructing a linear story, Lee weaves together fragments of sensation into visual fields that act as conduits—awakening memories of the unknown or the long forgotten.
Jiwon Seo (b. 1999) has been drawn to the irony and duality embedded in objects and images. Her latest works stem from a line she found in a book:
“An omnipotent god gifted a beautiful woman to a great general by turning her into a flowering branch.” Though it may sound mythologically graceful at first glance, the more one dwells on it, the more it conjures unsettling layers—gift and sacrifice, bloom and skull, beauty and violence—collapsing into a murky emotional terrain. Seo’s paintings allow such ambiguous, overlapping images to drift across the visual field, inviting the coexistence of the real and the imagined. Refusing to let any image or object settle into a singular meaning, she carefully veils them—as if wrapping a gift, or covering a bridal face with a veil. It is a gesture of concealment and protection, yet one that never fully seals.
Rather than narrating a single story, the works of Lee and Seo unfold like ‘lingering rumors’ —spreading, accumulating, and taking on new layers as they go. Their images and forms resist fixed structure, approaching as hazy signs that, within the viewer, might again become speech—or be misunderstood as such.
* The title “Lingering Rumors” is excerpted from Seo Jiwon’s 2025 artist note: “It is a kind of void. An unanswered space, like a lingering rumor—formless, unknowable, something I’d rather not know, something that renders everything else irrelevant. I proceed with my work leaving that void intact.”
Gayoung Lee (b. 2001) begins her paintings by retrieving lingering sensations from the unconscious. She follows fleeting images that surface in the liminal space before sleep—forms that slip beyond the reach of language—and lets them drift within layers of texture and motion. She gives these forms presence: adding faces, attaching limbs, shaping them into figures that feel like characters from half-remembered tales. Yet these beings resist resolution. They shift under the viewer’s gaze, inviting reinterpretation, slipping into new and unexpected narratives. Rather than constructing a linear story, Lee weaves together fragments of sensation into visual fields that act as conduits—awakening memories of the unknown or the long forgotten.
Jiwon Seo (b. 1999) has been drawn to the irony and duality embedded in objects and images. Her latest works stem from a line she found in a book:
“An omnipotent god gifted a beautiful woman to a great general by turning her into a flowering branch.” Though it may sound mythologically graceful at first glance, the more one dwells on it, the more it conjures unsettling layers—gift and sacrifice, bloom and skull, beauty and violence—collapsing into a murky emotional terrain. Seo’s paintings allow such ambiguous, overlapping images to drift across the visual field, inviting the coexistence of the real and the imagined. Refusing to let any image or object settle into a singular meaning, she carefully veils them—as if wrapping a gift, or covering a bridal face with a veil. It is a gesture of concealment and protection, yet one that never fully seals.
Rather than narrating a single story, the works of Lee and Seo unfold like ‘lingering rumors’ —spreading, accumulating, and taking on new layers as they go. Their images and forms resist fixed structure, approaching as hazy signs that, within the viewer, might again become speech—or be misunderstood as such.
* The title “Lingering Rumors” is excerpted from Seo Jiwon’s 2025 artist note: “It is a kind of void. An unanswered space, like a lingering rumor—formless, unknowable, something I’d rather not know, something that renders everything else irrelevant. I proceed with my work leaving that void intact.”
때로 이야기는 분명하게 전달되지 않는다. 입 밖으로 뱉기엔 너무 오래 묵혀졌거나, 말하는 이가 온전히 표현하지 못해 감각의 형태로만 남는 이야기들. ⟪긴 소문⟫*은 바로 그런 이야기—제대로 시작되지도, 명확한 끝맺음을 갖지도 못한 채 응어리진 이야기들로 이루어진다. 한때 누군가의 기억 속에서 태어났지만, 오해와 덧칠을 거치며 방향을 잃어버린 말들이 이가영과 서지원의 화면 안에서 이미지로 다시 떠오른다.
이가영(b. 2001)의 회화는 무의식의 잔여 감각을 길어 올리는 일로부터 시작된다. 작가는 잠들기 직전, 눈을 감았을 때 불쑥 떠오르는 이미지들—말로 붙잡을 수 없는 형상들—을 따라가며, 그들을 다양한 질감과 움직임 속에 머무르게 한다. 그에게 얼굴을 부여하고 사지를 덧붙이며 존재감을 입힌 뒤, 이야기 속 인물처럼 구성해낸다. 그러나 이들은 완결된 인물로 정착하길 거부한 채 관람자의 시선에 따라 다시 해석되고, 또 다른 방향으로 흘러간다. 강직한 서사를 구성하기보다는 파편화된 감각들을 직조하며 구성되는 작가의 화면은 또 다른 기억을 자극하는 일련의 매개로 자리한다.
서지원(b. 1999)은 오랫동안 어떤 사물이나 이미지가 품고 있는 아이러니와 이중성에 천착해왔다. 이번 신작은 한 책에서 발견한 구절에서 시작되었다. “전지전능한 신이 위대한 장군에게 어느 아리따운 여인을 꽃가지로 만들어 선물했다.” 얼핏 신화처럼 아름답게 여겨질 이 이야기는 곱씹을수록 선물과 희생, 꽃과 해골, 아름다움과 폭력이 복잡하게 뒤엉켜져 모호한 감정들을 불러일으킨다. 작가는 실재와 상상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만들어지는 존재들이나 애매하고 중첩된 이미지들을 화면 위에서 부유하도록 한다. 이미지와 사물이 단일한 의미로 환원되지 않기를 바라는 작가는 그들을 마치 포장된 선물처럼, 혹은 면사포에 감춰진 얼굴처럼 정성스레 감싼다. 감추고 보호하듯, 그러나 결코 봉인하지 않은 채.
이가영과 서지원의 작업은 하나의 이야기라기보다는 계속해서 번지고 또 살을 입으며 퍼져나가는 ‘긴 소문’처럼 작동한다. 이미지와 형상은 특정한 구조에 갇히지 않으며, 흐릿한 기척으로 다가와 관람자 안에서 다시금 말이 되거나, 말로 오해되는 순간을 떠올리게 한다.
*‘긴 소문’은 서지원의 작가 노트(2025)의 일부에서 발췌했다. “그것은 모종의 공백입니다. 대답 없는, 긴 소문같은, 실체를 알 수 없는, 알고싶지 않은, 그 모든 것들을 무색하게 하는, 공백. 저는 그 공백을 남겨 두며 작업을 진행합니다.”
이가영(b. 2001)의 회화는 무의식의 잔여 감각을 길어 올리는 일로부터 시작된다. 작가는 잠들기 직전, 눈을 감았을 때 불쑥 떠오르는 이미지들—말로 붙잡을 수 없는 형상들—을 따라가며, 그들을 다양한 질감과 움직임 속에 머무르게 한다. 그에게 얼굴을 부여하고 사지를 덧붙이며 존재감을 입힌 뒤, 이야기 속 인물처럼 구성해낸다. 그러나 이들은 완결된 인물로 정착하길 거부한 채 관람자의 시선에 따라 다시 해석되고, 또 다른 방향으로 흘러간다. 강직한 서사를 구성하기보다는 파편화된 감각들을 직조하며 구성되는 작가의 화면은 또 다른 기억을 자극하는 일련의 매개로 자리한다.
서지원(b. 1999)은 오랫동안 어떤 사물이나 이미지가 품고 있는 아이러니와 이중성에 천착해왔다. 이번 신작은 한 책에서 발견한 구절에서 시작되었다. “전지전능한 신이 위대한 장군에게 어느 아리따운 여인을 꽃가지로 만들어 선물했다.” 얼핏 신화처럼 아름답게 여겨질 이 이야기는 곱씹을수록 선물과 희생, 꽃과 해골, 아름다움과 폭력이 복잡하게 뒤엉켜져 모호한 감정들을 불러일으킨다. 작가는 실재와 상상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만들어지는 존재들이나 애매하고 중첩된 이미지들을 화면 위에서 부유하도록 한다. 이미지와 사물이 단일한 의미로 환원되지 않기를 바라는 작가는 그들을 마치 포장된 선물처럼, 혹은 면사포에 감춰진 얼굴처럼 정성스레 감싼다. 감추고 보호하듯, 그러나 결코 봉인하지 않은 채.
이가영과 서지원의 작업은 하나의 이야기라기보다는 계속해서 번지고 또 살을 입으며 퍼져나가는 ‘긴 소문’처럼 작동한다. 이미지와 형상은 특정한 구조에 갇히지 않으며, 흐릿한 기척으로 다가와 관람자 안에서 다시금 말이 되거나, 말로 오해되는 순간을 떠올리게 한다.
*‘긴 소문’은 서지원의 작가 노트(2025)의 일부에서 발췌했다. “그것은 모종의 공백입니다. 대답 없는, 긴 소문같은, 실체를 알 수 없는, 알고싶지 않은, 그 모든 것들을 무색하게 하는, 공백. 저는 그 공백을 남겨 두며 작업을 진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