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ngheeut presents Home, Firefly, Preface, a solo exhibition by Hyangro Yoon, on view from October 17 to November 15, 2025. In this exhibition, Yoon unveils a new body of paintings that begins from the act of observing her everyday surroundings during walks—where light, time, and personal memory overlap and unfold on the canvas.
In Home, Firefly, Preface, the artist unfolds the process by which everyday sensations are translated into painting, as if writing a preface to perception itself. Home represents both a point of departure and a site of memory, while Firefly evokes a painterly experiment that follows the traces and reflections of light—an intimate metaphor for recollection. Since her previous solo exhibition Mirae (2023), Yoon has turned her attention to the shifting nature of natural light and the accumulation of time across the painted surface, marking a new phase in her practice.
While walking along the riverside near her home, the artist encounters surfaces of water that constantly change shape with the flow of light, wind, and time. From these mutable surfaces, her contemplation extends toward a point where the shallowness of water, the depth of light, and the grain of time intersect. The images in Yoon’s paintings often appear without clear origin—they may stem from memory, or from the afterimage of a fleeting scene. Yet what interests her is not the source itself, but the sense of transference that occurs when such images are brought onto the canva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visible world is translated into the sensation of touch, and the subtle weight of air that fills the space in between, becomes the essence of her painting.
At the center of Home, Firefly, Preface are two interrelated series, Pond and River, where light and water coalesce and disperse. In Pond, Yoon captures fragments of water images encountered in different places, as though scooping them gently into her hand. River expands these captured fragments into close-up compositions, exploring both the flow of water and the sense of distance it creates. Just as small ponds converge to form a river, the two series are connected through mutual reflection and resonance. Beyond the simple depiction of landscape, layers of time and light remain on the surface, accumulating as traces of what has passed and what is yet to fade.
Yoon’s painting does not aim at representation. It is both the act of recording what is seen and the process of recalling what cannot be seen. She neither mimics the exact form of water nor completely abstracts it. Instead, her works exist in the overlap of image, material, light, and idea—where the atmosphere of a moment lingers in place of a concrete subject. This is why she describes her recent works as “paintings that fit in one’s hand”—a tactile experience that holds both the warmth of elapsed time and the faint light that still remains.
The exhibition also introduces installation and sound works that expand Yoon’s painterly language. In collaboration with sound artist Jiwan Yu, a sound piece incorporates location data from Yoon’s walking routes along the river, combining them with the sounds of dawn water and footsteps to fill the exhibition space. Within this interplay of sight and sound, the viewer encounters the sense of walking that underlies her painting process. Alongside her irregularly shaped canvases, Yoon also presents scarf-like works made from silk and glass beads. Floating between the wall and the floor like handkerchiefs dropped along the path, they remain as “paintings on another ground—a slightly tilted reality.”
For Yoon, water is a form without fixed shape yet capable of reflecting everything. Through this fluid nature, she continues to explore the essence of painting—where time, light, and traces of perception gather and disperse. The paintings in Home, Firefly, Preface embody both the warmth of time that has passed and the glow of light that remains, inviting viewers to encounter the moment of painting through the sensation of touch. They stand as a preface and an afterimage—rising from the boundary between memory and reality, sensation and thought.
In Home, Firefly, Preface, the artist unfolds the process by which everyday sensations are translated into painting, as if writing a preface to perception itself. Home represents both a point of departure and a site of memory, while Firefly evokes a painterly experiment that follows the traces and reflections of light—an intimate metaphor for recollection. Since her previous solo exhibition Mirae (2023), Yoon has turned her attention to the shifting nature of natural light and the accumulation of time across the painted surface, marking a new phase in her practice.
While walking along the riverside near her home, the artist encounters surfaces of water that constantly change shape with the flow of light, wind, and time. From these mutable surfaces, her contemplation extends toward a point where the shallowness of water, the depth of light, and the grain of time intersect. The images in Yoon’s paintings often appear without clear origin—they may stem from memory, or from the afterimage of a fleeting scene. Yet what interests her is not the source itself, but the sense of transference that occurs when such images are brought onto the canva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visible world is translated into the sensation of touch, and the subtle weight of air that fills the space in between, becomes the essence of her painting.
At the center of Home, Firefly, Preface are two interrelated series, Pond and River, where light and water coalesce and disperse. In Pond, Yoon captures fragments of water images encountered in different places, as though scooping them gently into her hand. River expands these captured fragments into close-up compositions, exploring both the flow of water and the sense of distance it creates. Just as small ponds converge to form a river, the two series are connected through mutual reflection and resonance. Beyond the simple depiction of landscape, layers of time and light remain on the surface, accumulating as traces of what has passed and what is yet to fade.
Yoon’s painting does not aim at representation. It is both the act of recording what is seen and the process of recalling what cannot be seen. She neither mimics the exact form of water nor completely abstracts it. Instead, her works exist in the overlap of image, material, light, and idea—where the atmosphere of a moment lingers in place of a concrete subject. This is why she describes her recent works as “paintings that fit in one’s hand”—a tactile experience that holds both the warmth of elapsed time and the faint light that still remains.
The exhibition also introduces installation and sound works that expand Yoon’s painterly language. In collaboration with sound artist Jiwan Yu, a sound piece incorporates location data from Yoon’s walking routes along the river, combining them with the sounds of dawn water and footsteps to fill the exhibition space. Within this interplay of sight and sound, the viewer encounters the sense of walking that underlies her painting process. Alongside her irregularly shaped canvases, Yoon also presents scarf-like works made from silk and glass beads. Floating between the wall and the floor like handkerchiefs dropped along the path, they remain as “paintings on another ground—a slightly tilted reality.”
For Yoon, water is a form without fixed shape yet capable of reflecting everything. Through this fluid nature, she continues to explore the essence of painting—where time, light, and traces of perception gather and disperse. The paintings in Home, Firefly, Preface embody both the warmth of time that has passed and the glow of light that remains, inviting viewers to encounter the moment of painting through the sensation of touch. They stand as a preface and an afterimage—rising from the boundary between memory and reality, sensation and thought.
상히읗은 2025년 10월 17일부터 11월 15일까지 윤향로 개인전 《Home, Firefly, Preface》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서 윤향로는 산책 중 마주한 주변의 풍경을 바라보는 시선을 출발점으로, 빛과 시간, 그리고 개인의 기억이 겹쳐지는 신작 회화를 선보인다.
《Home, Firefly, Preface》에서 작가는 일상 속 감각의 변화가 회화로 번역되는 과정을 한 편의 서문처럼 펼쳐 보인다. ‘Home’은 작가가 세상을 인식하는 출발점이자 기억의 장소이며, ‘Firefly’는 빛의 잔상과 반사를 좇는 회화적 실험이자 사적인 기억의 은유다. 윤향로는 지난 개인전 《미래》(2023) 이후, 자연광의 변화와 회화 표면 위에 쌓이는 시간의 흐름에 주목하며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다.
집 근처 산책로를 따라 걷다 마주한 하천의 표면은 빛과 바람, 시간의 흐름에 따라 끊임없이 형태를 바꾼다. 그 변화무쌍한 표면에서 출발한 작가의 사유는 물의 얕음과 빛의 깊이, 시간의 결이 교차하는 지점으로 이어진다. 윤향로의 회화 속 이미지는 종종 그 출처가 불분명하다. 그것은 작가의 기억일 수도, 혹은 스쳐 지나간 장면의 잔광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가 주목하는 것은 출처가 아니라, 그것이 화면 위로 옮겨질 때 발생하는 전이의 감각이다. 눈으로 본 세계가 손끝의 감각으로 번역되는 과정, 그리고 그 사이를 채우는 공기의 무게가 곧 회화의 본질로 남는다.
《Home, Firefly, Preface》의 중심에는 빛과 물이 맺히고 흩어지는 두 연작 〈Pond〉와 〈River〉가 있다. 〈Pond〉는 각각의 장소에서 마주한 물을 손 안에 떠내듯 작은 화면 위에 담아낸다. 반면 〈River〉는 이러한 연못들의 부분을 확대하여 클로즈업한 이미지로 재구성하며, 물의 흐름과 거리감을 동시에 탐구한다. 작은 연못들이 모여 강을 이루듯, 두 연작은 서로의 반사와 여운 속에서 이어진다. 화면 위에는 단순한 풍경의 재현을 넘어, 빛이 번지고 사라지며 남긴 시간의 흔적이 켜켜이 쌓인다.
윤향로의 회화는 재현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 그것은 ‘본 것’을 옮겨 적는 행위이자, ‘보이지 않는 것’을 다시 불러내는 과정이다. 그는 물의 형태를 그대로 모사하지도, 완전히 추상화하지도 않는다. 이미지와 재료, 빛과 개념이 겹쳐 쌓이며 구체적 대상 대신 순간의 분위기와 여운이 남는다. 작가가 이번 신작을 ‘손에 담기는 회화’라 부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지나간 시간의 온도와 아직 남은 빛을 동시에 감싸 안은, 손끝으로 느껴지는 회화적 경험을 건네기 위해서다.
이번 전시에서는 윤향로의 회화적 언어를 확장하는 설치와 사운드 작업도 함께 소개된다. 유지완 작가와 협업한 사운드 작업은 작가가 걸었던 물길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새벽의 물소리와 걷는 리듬을 전시장 안에 흐르게 한다. 시각과 청각으로 감각되는 공간 속에서 관객은 회화에 내재된 ‘걷는 감각’을 경험한다. 다양한 회화적 형태에 관심을 가져온 작가는 비정형 캔버스의 신작과 함께, 실크와 유리구슬로 제작한 스카프 형태의 작업을 선보인다. 길 위에 떨어진 손수건을 연상시키듯 벽과 바닥 사이를 유영하는 이 작업은 ‘조금 비틀어진 현실 속, 다른 바닥 위의 그림’으로 남는다.
윤향로에게 물은 형태를 가지지 않으면서도 모든 것을 비추는 존재다. 그는 이 유동적 성질을 통해 회화의 근본을 탐구한다 — 시간과 빛, 감각의 흔적이 화면 위에서 쌓이고 흩어지는 과정을. 《Home, Firefly, Preface》의 회화는 지나간 시간의 온도와 아직 남은 빛을 동시에 품으며, 관객으로 하여금 손끝으로 감각되는 회화의 순간을 경험하게 한다. 그것은 기억과 현실, 감각과 사유의 경계에서 피어오르는, 하나의 서문이자 빛의 잔상이다.
《Home, Firefly, Preface》에서 작가는 일상 속 감각의 변화가 회화로 번역되는 과정을 한 편의 서문처럼 펼쳐 보인다. ‘Home’은 작가가 세상을 인식하는 출발점이자 기억의 장소이며, ‘Firefly’는 빛의 잔상과 반사를 좇는 회화적 실험이자 사적인 기억의 은유다. 윤향로는 지난 개인전 《미래》(2023) 이후, 자연광의 변화와 회화 표면 위에 쌓이는 시간의 흐름에 주목하며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다.
집 근처 산책로를 따라 걷다 마주한 하천의 표면은 빛과 바람, 시간의 흐름에 따라 끊임없이 형태를 바꾼다. 그 변화무쌍한 표면에서 출발한 작가의 사유는 물의 얕음과 빛의 깊이, 시간의 결이 교차하는 지점으로 이어진다. 윤향로의 회화 속 이미지는 종종 그 출처가 불분명하다. 그것은 작가의 기억일 수도, 혹은 스쳐 지나간 장면의 잔광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가 주목하는 것은 출처가 아니라, 그것이 화면 위로 옮겨질 때 발생하는 전이의 감각이다. 눈으로 본 세계가 손끝의 감각으로 번역되는 과정, 그리고 그 사이를 채우는 공기의 무게가 곧 회화의 본질로 남는다.
《Home, Firefly, Preface》의 중심에는 빛과 물이 맺히고 흩어지는 두 연작 〈Pond〉와 〈River〉가 있다. 〈Pond〉는 각각의 장소에서 마주한 물을 손 안에 떠내듯 작은 화면 위에 담아낸다. 반면 〈River〉는 이러한 연못들의 부분을 확대하여 클로즈업한 이미지로 재구성하며, 물의 흐름과 거리감을 동시에 탐구한다. 작은 연못들이 모여 강을 이루듯, 두 연작은 서로의 반사와 여운 속에서 이어진다. 화면 위에는 단순한 풍경의 재현을 넘어, 빛이 번지고 사라지며 남긴 시간의 흔적이 켜켜이 쌓인다.
윤향로의 회화는 재현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 그것은 ‘본 것’을 옮겨 적는 행위이자, ‘보이지 않는 것’을 다시 불러내는 과정이다. 그는 물의 형태를 그대로 모사하지도, 완전히 추상화하지도 않는다. 이미지와 재료, 빛과 개념이 겹쳐 쌓이며 구체적 대상 대신 순간의 분위기와 여운이 남는다. 작가가 이번 신작을 ‘손에 담기는 회화’라 부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지나간 시간의 온도와 아직 남은 빛을 동시에 감싸 안은, 손끝으로 느껴지는 회화적 경험을 건네기 위해서다.
이번 전시에서는 윤향로의 회화적 언어를 확장하는 설치와 사운드 작업도 함께 소개된다. 유지완 작가와 협업한 사운드 작업은 작가가 걸었던 물길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새벽의 물소리와 걷는 리듬을 전시장 안에 흐르게 한다. 시각과 청각으로 감각되는 공간 속에서 관객은 회화에 내재된 ‘걷는 감각’을 경험한다. 다양한 회화적 형태에 관심을 가져온 작가는 비정형 캔버스의 신작과 함께, 실크와 유리구슬로 제작한 스카프 형태의 작업을 선보인다. 길 위에 떨어진 손수건을 연상시키듯 벽과 바닥 사이를 유영하는 이 작업은 ‘조금 비틀어진 현실 속, 다른 바닥 위의 그림’으로 남는다.
윤향로에게 물은 형태를 가지지 않으면서도 모든 것을 비추는 존재다. 그는 이 유동적 성질을 통해 회화의 근본을 탐구한다 — 시간과 빛, 감각의 흔적이 화면 위에서 쌓이고 흩어지는 과정을. 《Home, Firefly, Preface》의 회화는 지나간 시간의 온도와 아직 남은 빛을 동시에 품으며, 관객으로 하여금 손끝으로 감각되는 회화의 순간을 경험하게 한다. 그것은 기억과 현실, 감각과 사유의 경계에서 피어오르는, 하나의 서문이자 빛의 잔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