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gene Jung
정유진
Frieze Seoul 2025
September 3—6, 2025

Summary
Selected press

Related artist:
Eugene Jung

Eugene Jung
정유진
Frieze Seoul 2025
September 3—6, 2025

sangheeut will participate in the Focus Asia section of Frieze Seoul 2024 with a solo booth by Eugene Jung (b. 1995). Through sculpture and installation, Jung constructs post-apocalyptic landscapes rooted in her lived environment and the social narratives entwined with it. Her practice consistently explores the variability and impermanence of contemporary society by tracing the invisible systems and flows that shape urban life.

At the booth, Jung unveils her new series Scrapulance (2025), which originates from W💀W (Waves of Wreckage) (2024), a large-scale installation first presented at the Busan Biennale 2024. She dismantled that work and reassembled its fragments with urban traces collected in New York, where she is currently based, thereby generating new forms and narratives. This transformative process—at once destruction and regeneration, disassembly and recomposition—reflects the cyclical flow of the contemporary world while embodying a mode of self-documentation, in which the artist observes and records her own working process. The act of dismantling and recreating is not mere recycling; it is a creative moment that arises only by overturning existing structures, resonating with the cycles of capitalism itself. In this way, Jung’s work reflects a world where change and destruction coexist, where new orders are continually formed, and where the contradictions and transformations of reality are translated into artistic form.

The resulting landscape is one where concrete towers soar skywards, rusted machines thrust out of the ground, and countless tiny eyes flicker across the air in dazzling trajectories. Messages of liberation scattered throughout the scene evoke the unseen systems beneath visible disaster, while the work seeks to capture the tension between collapse, resurgence, and flow. Sculptural columns combined with a suite of drawings extend throughout the booth, creating a field of density and dynamism across contrasting textures and surfaces.

For Jung, sculpture is both the trace of matter in an uncertain world and a medium for posing fundamental questions about how we sense and experience reality. With Scrapulance, she explores the intersections of art and reality within cycles of destruction and renewal, presenting a practice that is both self-reflective and perpetually evolving.
상히읗은 오는 프리즈 서울 ‘포커스 아시아’ 섹션에서 정유진(b. 1995)의 솔로 부스 《Scrapulance》를 선보인다. 정유진은 조각과 설치 작업을 통해 자신이 살아가는 환경과 그에 얽힌 사회적 서사를 바탕으로 포스트-아포칼립스적인 풍경을 구축한다. 특히 도시 속 삶에 영향을 미치는 보이지 않는 시스템과 흐름을 포착하며, 변화하는 현대 사회의 가변성과 비영속성을 지속적으로 탐구해왔다.

이번 상히읗 부스에서 선보이는 신작 <Scrapulance> 연작은 2024 부산비엔날레에서 처음 공개한 대규모 설치 작품 <W💀W (Waves of Wreckage)>의 부분으로부터 출발한다. 작가는 해당 작품을 해체한 뒤, 자신이 현재 기반을 두고 있는 뉴욕에서 수집한 도시의 흔적들을 더하고  재조합함으로써 새로운 형식과 서사를 획득한다. 이러한 변환의 과정은 파괴와 재생, 해체와 재구성이 끊임없이 반복되는 동시대의 순환적 흐름을 은유하는 동시에, 작업에 대한 자기 기록(self-documentation)적 태도를 고스란히 담아낸다. 이는 비단 현실의 재현이 아니라 변화하는 작업 과정을 스스로 관찰하고 기록하는 자기 성찰의 행위이기도 하다. 해체와 재창조의 반복은 단순한 재활용을 넘어 기존의 구조를 무너뜨려야만 비로소 가능해지는 창조의 순간이며, 이는 자본주의의 순환적 메커니즘과도 맞닿아 있다. 이렇듯 정유진의 작업은 변화와 파괴가 공존하는 세계와 그 속에서 형성되는 새로운 질서를 반영하며, 현실의 모순과 변화를 예술의 형식으로 풀어낸다.

콘크리트는 끝없이 하늘로 솟아오르고, 녹슬고 육중한 기계들은 바닥을 뚫고 나오며, 날파리처럼 작은 눈들은 현란한 곡선을 그리며 허공을 누빈다. 해방의 메시지가 곳곳에 흩뿌려진 이 풍경은 가시적인 재난 너머의 비가시적 시스템을 감지하며, 꺼지고 솟구치고 흐르는 움직임 사이의 긴장을 포착하고자 한다. 기둥 형태의 구조물과 일련의 드로잉이 결합된 설치 작업은 전시 공간 전반에 걸쳐 배치되어, 서로 다른 질감과 표면 사이에 응집된 밀도와 역동적인 긴장감을 만들어낸다.

정유진에게 조각은 불확실한 세계 속 물질의 흔적이자, 우리가 세상을 어떻게 감각하고 경험할 것인가에 관해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하는 매체다. 이번 작업을 통해 그는 파괴와 재생의 순환 속에서 예술과 현실이 교차하는 지점을 탐색하며, 변화하는 세계와 그 속에서 끊임없이 자신을 기록하고 갱신하는 태도를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sangheeut 
30, Sinheung-ro, Yongsan-gu, Seoul 04339
(04339) 서울 용산구 신흥로 30

info@sangheeut.net
Instagram  ∙  Youtube  ∙  Newsletter  ∙  Artsy
Opening hours:
Tuesday⏤Saturday
11am⏤6pm
Closed on national holidays

© 2025 sanghee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