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ji Song
송민지
Art Jakarta 2025
October 3—5, 2025

Installation views
Press release

Related artist:
Minji Song
Minji Song
송민지
Art Jakarta 2025
October 3—5, 2025


sangheeut will make its debut at Art Jakarta 2025, held at the Jakarta Convention Center from October 3 to 5. The gallery will present works by artist Minji Song in the Korea Focus section (Booth E16).

Song’s practice explores the tension and contingency shaped by gravity, time, and physical forces. By pouring paint onto unstretched fabric and allowing it to flow freely, she embraces material uncertainty and opens up new possibilities for painting, where unexpected events unfold across the surface.

At Art Jakarta, Song will present two new works, Bridge (2025) and Oriel (2025). Bridge traces the transformation of the entire surface as the fabric is shifted, with each mark left by the flowing paint connected like a bridge between departure and arrival. In contrast, Oriel isolates and reframes a fragment of the surface, much like an oriel window that projects from a building’s façade to offer a distinct perspective. Together, the two works capture the traces of paint as it moves across fabric, revealing how a gaze that encompasses the whole surface differs from one that focuses on fragments.

Song’s practice features its reference to architectural forms and motifs. Her earlier work Park drew on the dual meaning of “park” as both a parking lot and a green space, highlighting the layered nature of space. Similarly, she translates specific structures or architectural elements into painting, opening up new ways of perceiving space. In doing so, her work proposes painting not merely as traces left on a flat surface, but as a field that, like architectural space, shifts according to the viewer’s gaze and movement. Her new works Bridge and Oriel also draw on architectural elements—bridges and windows—to structure the canvas, further demonstrating how she expands painting into realms of spatial and sensory experience.
상히읗은 오는 10월 3일부터 5일까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컨벤션 센터에서 열리는 ‘아트 자카르타 2025(Art Jakarta 2025)’에 처음으로 참가한다. 이번 페어에서 작가 송민지의 작품을 소개하며, 코리아 포커스 섹션(Booth E16)에 참여한다.

송민지는 중력, 시간, 물리적 영향이 만들어내는 우연성과 긴장감을 탐구하는 회화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고정되지 않은 천 위에 물감을 흘려 보내며 재료의 불확실성을 수용하는 방식은 회화의 경계를 확장하고, 화면 속에서 예측할 수 없는 사건을 발생시킨다.

이번 아트 자카르타에서는 신작 <Bridge>(2025)와 <Oriel>(2025)을 선보인다. <Bridge>은 천을 움직일 때 화면 전체가 변하는 과정을 통해, 물감이 이동하며 남긴 흔적들을 마치 출발과 도착을 잇는 다리처럼 서로 연결된 흐름으로 드러낸다. 반면 <Oriel>은 전체 화면 중 일부를 ‘건져내듯’ 선택해 새로운 장면으로 재구성한 작품이다. 이는 건축에서 외벽으로 돌출된 창을 뜻하는 ‘오리엘(oriel)’처럼, 전체 속 단면을 꺼내어 또 다른 시각을 열어 놓는다. 두 연작은 천 위에서 물감이 이동하고 남긴 자취를 포착하며, 화면 전체를 아우르는 시선과 단편적인 장면을 선택하는 시선이 어떻게 다르게 작동하는지를 보여준다. 

송민지의 작업은 회화 속에서 건축적 양식이나 형태를 참조하는 특징을 지닌다. 이전 작업 <Park>가 ‘주차장’과 ‘공원’이라는 중의적 의미를 끌어와 공간의 이중성을 드러냈듯, 그는 특정 구조나 건축적 모티프를 회화로 변환하며 공간을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방식을 제안한다. 이러한 접근은 회화가 단순히 평면 위의 흔적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건축적 공간처럼 관람자의 시선과 움직임에 따라 달리 경험될 수 있는 장을 열어준다. 이번 신작 <Bridge>와 <Oriel> 역시 ‘다리’와 ‘창’이라는 건축적 요소를 차용해 화면을 구성하며, 송민지가 회화를 통해 공간과 감각을 확장해 나가는 과정임을 시사한다.
sangheeut 
30, Sinheung-ro, Yongsan-gu, Seoul 04339
(04339) 서울 용산구 신흥로 30

info@sangheeut.net
Instagram  ∙  Youtube  ∙  Newsletter  ∙  Artsy
Opening hours:
Tuesday⏤Saturday
11am⏤6pm
Closed on national holidays

© 2025 sanghee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