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ess than a year ago, artist Eugene Jung moved from Seoul to New York, seeking a new challenge. The grittiness and spontaneity of the city allowed Jung the ‘room to improvize’. She collects rusting scrap metal from the streets, converting the movements and traces of the city into physical forms that have ‘weight in the real world’.
The artist has been following urban and natural disasters and witnessed several herself in her lifetime. Closing the ‘gap’ between image and reality has become her life-long assignment.
As Jung prepares to show new sculptures with sangheeut at Frieze Seoul 2025, she reflects on her intercontinental move, the influence of Japanese anime on her work, and the abstract wreckage of unseen catastrophes.
...
MM: Tell us about your work for Frieze Seoul.
EJ: I’ve been dealing with images of disasters and catastrophes in my work, but I wanted to go a little further and think about invisible disasters. I think that the constant construction, the overflow of garbage in the city and the many homeless people on the streets are all traces of the gaps in the system or the collapse of infrastructure. I capture the traces and movements of the urban system and make them visible and physical.
MM: You work with rusted steel sheets, poles and drones. Can you talk about your material choices?
EJ: In both Seoul and New York, I’ve always collected and used architectural materials. I am deeply influenced by the images of collapsed cities and crumbling buildings from the animations and comics that I saw at a young age. I feel like those images are embedded in my cells – I use building materials to materialize them. The fact that my work has weight in the real world is important to me.
The artist has been following urban and natural disasters and witnessed several herself in her lifetime. Closing the ‘gap’ between image and reality has become her life-long assignment.
As Jung prepares to show new sculptures with sangheeut at Frieze Seoul 2025, she reflects on her intercontinental move, the influence of Japanese anime on her work, and the abstract wreckage of unseen catastrophes.
...
MM: Tell us about your work for Frieze Seoul.
EJ: I’ve been dealing with images of disasters and catastrophes in my work, but I wanted to go a little further and think about invisible disasters. I think that the constant construction, the overflow of garbage in the city and the many homeless people on the streets are all traces of the gaps in the system or the collapse of infrastructure. I capture the traces and movements of the urban system and make them visible and physical.
MM: You work with rusted steel sheets, poles and drones. Can you talk about your material choices?
EJ: In both Seoul and New York, I’ve always collected and used architectural materials. I am deeply influenced by the images of collapsed cities and crumbling buildings from the animations and comics that I saw at a young age. I feel like those images are embedded in my cells – I use building materials to materialize them. The fact that my work has weight in the real world is important to me.
약 1년 전, 정유진 작가는 새로운 도전을 모색하며 서울에서 뉴욕으로 이주했다. 뉴욕 특유의 거친 매력과 자유분방한 분위기는 작가에게 “즉흥적인 작업이 가능한 환경”이 되어주었다. 그녀는 할렘 거리를 거닐며 녹슨 금속 자재를 수집한다. 그것들로 도시의 움직임과 흔적을 물성을 가진 형태로 발전시키며, “현실의 무게를 가진” 작업을 선보이고 있다.
여러 차례 도시 및 자연재해를 멀리서 지켜보기도 직간접적으로 경험하기도 한 작가는, “위험을 인지하지 못할 때 더 큰 재난이 초래될 수 있습니다.”라고 말한다. 나아가 이미지와 현실 사이의 “간극”을 좁히는 일을 평생 작업을 통해 풀어가야 할 과업으로 삼고 있다.
갤러리 상히읗과 함께 프리즈 서울 2025에 참가할 예정인 정유진은 새로운 조각 작품 공개를 앞두고, 미국으로 이주한 경험, 작업에 영향을 준 일본 애니메이션, 그리고 “비가시적인 재난”의 파편들과 추상성에 대한 생각들을 전했다.
...
MM: 프리즈 서울에서 공개할 작품은 무엇인가요?
EJ: 지금까지 작업에서 주로 재난과 재난의 이미지를 다뤄왔고,나아가 ‘비가시적인 재난’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졌습니다. 끊임없이 진행되는 공사, 넘쳐나는 도시 쓰레기, 늘어나는 노숙인 인구 등의 현상은 결국 시스템의 불균형이나 붕괴된 인프라에서 남기는 흔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신작에서는 도시 시스템의 이러한 흔적과 움직임을 포착하고, 이를 가시화하고 물질화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MM: 해당 작품에는 녹슨 철판, 기둥 등의 철물, 그리고 드론으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재료 선택에는 어떤 의도가 담겨 있는지 궁금합니다.
EJ: 예전부터 서울과 뉴욕 같은 도시에서 건축 자재를 수집해 작품에 사용해 왔습니다. 어린 시절 접했던 애니메이션이나 만화 속 붕괴된 도시, 무너져 내린 건축물의 이미지가 저에게 큰 영향을 주었죠. 마치 제 세포 깊숙이 새겨진 듯한 감각이었고, 이를 물질화하기 위해 건축 자재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제 작업이 현실의 무게를 가지는 것은 저에게 중요합니다.
여러 차례 도시 및 자연재해를 멀리서 지켜보기도 직간접적으로 경험하기도 한 작가는, “위험을 인지하지 못할 때 더 큰 재난이 초래될 수 있습니다.”라고 말한다. 나아가 이미지와 현실 사이의 “간극”을 좁히는 일을 평생 작업을 통해 풀어가야 할 과업으로 삼고 있다.
갤러리 상히읗과 함께 프리즈 서울 2025에 참가할 예정인 정유진은 새로운 조각 작품 공개를 앞두고, 미국으로 이주한 경험, 작업에 영향을 준 일본 애니메이션, 그리고 “비가시적인 재난”의 파편들과 추상성에 대한 생각들을 전했다.
...
MM: 프리즈 서울에서 공개할 작품은 무엇인가요?
EJ: 지금까지 작업에서 주로 재난과 재난의 이미지를 다뤄왔고,나아가 ‘비가시적인 재난’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졌습니다. 끊임없이 진행되는 공사, 넘쳐나는 도시 쓰레기, 늘어나는 노숙인 인구 등의 현상은 결국 시스템의 불균형이나 붕괴된 인프라에서 남기는 흔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신작에서는 도시 시스템의 이러한 흔적과 움직임을 포착하고, 이를 가시화하고 물질화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MM: 해당 작품에는 녹슨 철판, 기둥 등의 철물, 그리고 드론으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재료 선택에는 어떤 의도가 담겨 있는지 궁금합니다.
EJ: 예전부터 서울과 뉴욕 같은 도시에서 건축 자재를 수집해 작품에 사용해 왔습니다. 어린 시절 접했던 애니메이션이나 만화 속 붕괴된 도시, 무너져 내린 건축물의 이미지가 저에게 큰 영향을 주었죠. 마치 제 세포 깊숙이 새겨진 듯한 감각이었고, 이를 물질화하기 위해 건축 자재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제 작업이 현실의 무게를 가지는 것은 저에게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