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ured in Harper’s BAZAAR
November, 2024
Hyejin Jee of Gallery sangheeut on the Power of Art
갤러리 '상히읗' 대표 지혜진이 믿는 예술의 힘

By Yeongjin Go


Read more
Featured in Harper’s BAZAAR
November, 2024
Hyejin Jee of Gallery sangheeut on the Power of Art
갤러리 '상히읗' 대표 지혜진이 믿는 예술의 힘

By Yeongjin Go


Read more

In 2021, sangheeut opened its space at the five-way intersection in Haebangchon, presenting a year-long series of experimental exhibitions. After a brief hiatus, the gallery marked a fresh beginning last summer. Yet then, as now, director Hyejin Jee repeatedly finds herself pausing before the question: what justifies an exhibition?

sangheeut traces its origin to a curatorial collective of the same name launched three years ago. It began among me and my friend who all happened to have the letter ‘ㅎ’ in their names, worked at so-called “mega-galleries,” and shared a strong interest in exhibition-making. We decided to rent a space for exactly one year to try curating the kinds of shows we wanted to see—and signed the lease before overthinking it. Over that one-year period, we hosted the programs we truly wanted to pursue: performance, screenings, open calls, and more, all without worrying about external expectations.

So what has changed since then? Aside from now running it alone, little has shifted in terms of curatorial direction. During my graduate studies, I focused on exhibition histories and came to see exhibitions as a way of reading the broader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of their time. That understanding has since become a kind of guiding principle for sangheeut. The questions—Why this artist, and why now? What meaning might this exhibition hold for the public?—have shaped every program the gallery has presented since 2021.
2021년, 해방촌 오거리에 등장해 1년간 실험적 전시를 선보이던 상히읗은 잠깐의 휴식기를 가진 후 지난 여름 새 출발을 알렸다. 대표 지혜진은 그때나 지금이나 전시의 당위성을 묻는 질문 앞에 반복적으로 멈춰선다.

상히읗의 전신은 3년 전 큐레이터 컬렉티브로 시작한 동명의 프로젝트였다. 모두 이름에 ‘ㅎ’이 들어가고, 소위 말하는 메가 갤러리에서 일하고 있고, 전시 기획에 관심이 많다는 공통점이 있는 친구들과 시작한 일이었다. 딱 1년만 공간을 빌려 우리가 하고 싶은 전시를 해보기로 하고 덜컥 건물부터 계약한 것이다. 그렇게 공간을 얻게 된 1년 동안 주변 눈치 보지 않고 퍼포먼스, 스크리닝, 오픈콜 전시 등 그야말로 하고 싶은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진행했다.

그때와 지금, 어떤 점이 다른가? 지금은 혼자 운영하고 있다는 점만 달라졌을 뿐 방향은 같다. 석사 때 전시사(Exhibition Histories)를 공부하며 전시로 당대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포괄적으로 읽을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 그때의 배움이 지금 상히읗을 운영하는 기조 같은 것이 되었다. 왜 지금 이 작가의 전시를 열어야 하는지, 대중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지와 같은 물음들은 2021년부터 지금까지 상히읗의 모든 프로그램을 관통한다.

sangheeut 
30, Sinheung-ro, Yongsan-gu, Seoul 04339
(04339) 서울 용산구 신흥로 30

info@sangheeut.net
Instagram  ∙  Youtube  ∙  Newsletter  ∙  Artsy
Opening hours:
Tuesday⏤Saturday
11am⏤6pm
Closed on national holidays

© 2025 sanghee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