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 first encountered sangheeut at the Preview Art Fair, an event organized by Shinhan Card. True to its name, “The Preview” aims to introduce new galleries, artists, and works ahead of the curve. With its slogan promising early access to emerging artists, the fair brings together a range of young exhibition spaces, offering a fresh and distinctive experience not often found at conventional art fairs. Since its launch in 2021, The Preview Art Fair has taken place in trendy neighborhoods like Hannam and Seongsu, injecting new energy into the scene and contributing to the growth of Korea’s contemporary art market.
sangheeut was featured in one of The Preview’s special booths. Slightly removed from the main fair area, the booth was housed in a shipping container where sangheeut presented video works—experimenting with the sale of media art in the contemporary art context. Regardless of actual sales, the booth stood out as it swiftly shifted the attention of viewers—more familiar with the dominant medium of painting at such fairs—toward new media practices.
Run by two curators, sangheeut first opened its doors in 2021 at the Ogeori intersection in Haebangchon. It recently relocated and reopened near the entrance of Haebangchon, closer to Gyeongnidan-gil.
Much like their presentation at The Preview, sangheeut has consistently shown that contemporary art is not limited to painting. Their approach invites active conversation around the diversity of mediums, even in the realm of collecting. Above all, by embracing the unique atmosphere of Haebangchon and focusing on incubation, sangheeut seems to be fulfilling what a gallery is fundamentally meant to do.
sangheeut was featured in one of The Preview’s special booths. Slightly removed from the main fair area, the booth was housed in a shipping container where sangheeut presented video works—experimenting with the sale of media art in the contemporary art context. Regardless of actual sales, the booth stood out as it swiftly shifted the attention of viewers—more familiar with the dominant medium of painting at such fairs—toward new media practices.
Run by two curators, sangheeut first opened its doors in 2021 at the Ogeori intersection in Haebangchon. It recently relocated and reopened near the entrance of Haebangchon, closer to Gyeongnidan-gil.
Much like their presentation at The Preview, sangheeut has consistently shown that contemporary art is not limited to painting. Their approach invites active conversation around the diversity of mediums, even in the realm of collecting. Above all, by embracing the unique atmosphere of Haebangchon and focusing on incubation, sangheeut seems to be fulfilling what a gallery is fundamentally meant to do.
상히읗을 처음 만난 곳은 더프리뷰 아트페어 현장이었습니다. 신한카드에서 주최하는 더프리뷰 아트페어(The Preview Art Fair)는 새로운 갤러리, 작가, 작업을 가장 먼저 소개하는 ‘미리보기’를 의미하는데요. 신진 작가의 작품을 빠르게 만나볼 수 있다는 슬로건을 지닌 만큼, 신생 전시공간들을 한자리에 모아 기존 아트페어에서는 보기 힘들었던 특색을 가지고 운영되는 공간을 다수 만나볼 수 있는 행사입니다. 2021년부터 시작한 더프리뷰 아트페어는 한남, 성수 등 핫플레이스에서 개최되며, 새로운 활력을 불러일으키고 한국 미술시장 생태계 확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이런 더프리뷰의 스페셜 부스를 장식한 곳이 바로 상히읗이었는데요. 메인 아트페어 공간에서 조금 떨어진 곳, 컨테이너 박스에 부스를 마련한 상히읗은 영상 작품을 선보이며 동시대 미술 안에서 미디어 아트와 같은 새로운 매체의 판매를 실험하고 있었습니다. 판매 여부를 떠나 메인 아트페어 현장을 주로 채우고 있는 평면 회화에 익숙한 관람객들의 관심사를 단숨에 뉴미디어 작품으로 전환시켜주는 부스였죠.
상히읗은 두 명의 기획자가 함께 운영하는 브랜드로서, 2021년 해방촌 오거리에 처음 문을 열었고, 최근 경리단길과 인접한 해방촌 입구로 자리를 옮겨 재개관 했습니다.
더프리뷰 스페셜 부스에서 보여준 모습처럼 상히읗은 동시대 미술이 회화에만 국한하고 있지 않음을 선보였는데요. 이 때문에 소장의 영역에서도 매체의 다양성을 적극적으로 논의해 보자고 제안하는 듯 보였습니다. 무엇보다 해방촌이라는 독특한 지역적 분위기를 흡수하여 인큐베이팅에 집중하고, 어쩌면 갤러리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주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 것이죠.
이런 더프리뷰의 스페셜 부스를 장식한 곳이 바로 상히읗이었는데요. 메인 아트페어 공간에서 조금 떨어진 곳, 컨테이너 박스에 부스를 마련한 상히읗은 영상 작품을 선보이며 동시대 미술 안에서 미디어 아트와 같은 새로운 매체의 판매를 실험하고 있었습니다. 판매 여부를 떠나 메인 아트페어 현장을 주로 채우고 있는 평면 회화에 익숙한 관람객들의 관심사를 단숨에 뉴미디어 작품으로 전환시켜주는 부스였죠.
상히읗은 두 명의 기획자가 함께 운영하는 브랜드로서, 2021년 해방촌 오거리에 처음 문을 열었고, 최근 경리단길과 인접한 해방촌 입구로 자리를 옮겨 재개관 했습니다.
더프리뷰 스페셜 부스에서 보여준 모습처럼 상히읗은 동시대 미술이 회화에만 국한하고 있지 않음을 선보였는데요. 이 때문에 소장의 영역에서도 매체의 다양성을 적극적으로 논의해 보자고 제안하는 듯 보였습니다. 무엇보다 해방촌이라는 독특한 지역적 분위기를 흡수하여 인큐베이팅에 집중하고, 어쩌면 갤러리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주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 것이죠.